고구마는 서울 토박이고 송이의 고향은 연변이다.
이 시리즈는 현실에서 발생한 고구마와 송이의 일상과 대화를 기본으로 만들어졌다.
———————————————————————————
어느 평화로운 하루, 송이는 마트에서 마른 명태를 발견했는데…
송이: 고구마야! 여기 명태 있다. 너 마른 명태 좋아해?
고구마: …그거 북어야. 나 북어 안 좋아해.
송이: 이거 마른 명태야! 북어는 무슨 북어.
고구마: 아니야! 명태를 말리우면 북어가 돼. 갓 잡힌 명태는 생태고.
송이: …그럼 명태 얼리면 뭐가 돼?
고구마: 얼리면 동태야! 생태가 말리면 코다리. 새끼 명태는 노가리.
송이: 너네 남조선에서는 왜 그렇게 복잡하게 말해! 명태 말리우면 마른 명태고, 얼리면 언 명태고, 갓 잡힌 명태는 생 명태고, 새끼 명태는 그냥 새끼 명태야.
고구마: 그래 봤자 네가 하는 말은 사투리고 내가 하는 말이 표준어야.
송이:
아직도 송이는 명태를 보면 뭐라고 불러야 할지 모른다.
이미지 출처: https://m.blog.naver.com/moeblog/220520897287
자기전에 들렸다가 소리내서 웃고 갑니다. ㅎㅎㅎ
명란은 그래도 통일돼서 다행이네요.
ㅎㅎㅎㅎㅎ 그러게 말임다.
ㅋㅋㅋㅋ 마른 명태, 젖은 명태, 언 명태, 그리고 “진미명태”
ㅋㅋㅋㅋㅋㅋ 예전에 어느 hmart에서 진미명태 보고 너무 반가워서 엄청 자랑한 기억이 있습니다.
연변에는 바다 출구가 없어서 생태가 안나니까 명태 이름이 다양하지 않슴다 ㅎㅎ 그런데도 지금은 제일 큰 명태가공기지가 됐다는 신기한 사실. 명태는 다 얼린 명태가 수입되어서, 제 기억은 언 명태나 그게 살짝 녹은 건 ‘젖은명태’라 그랬고, 가공해서 황태로 만든건 ‘마른명태’, 양념은 해서 더 맛을 입히고 오래 보존시키게 만든건 ‘짝태’, 짝태는 연변 브랜드 ‘진미’로도 이름이 그냥 통했짐요 ㅎㅎ 고구마 보구 짝태 먹어봤냐 물어보쇼 하하하
며칠전에 짝태 아냐고 물어 보니깐 마요네즈에다 찍어 먹을수 있어서 좋아 한다 합데다. 마요네즈에 명태 먹는 것을 상상하면서 나는 좀 경악 했습니다. 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