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족으로 산다는 것 (70,80후의 삶, 앎, 꿈)
최일 편
위챗계정 지행자知行者 문집인 《조선족으로 산다는 것-70,80후의 삶, 앎, 꿈》이 민족출판사에서 출판되였다.
<지행자>는 삶의 소양이 될 수있는 민족문화 보급과 지식의 사회환원을 지향하는 조선족 지식인들의 위챗공동체이다. 자기의 지식을 남들과 공유하고 싶어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직접 지은 글을 게재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련해주고저 하는 것이 <지행자>의 가장 기본적인 취지이다.
<지행자> 계정이 개통되여서부터 4년 동안 250여편의 다양한 내용과 형식의 글이 게재되였는데 본 문집은 이 중에서 엄선하여 작품집으로 묶어 출간하였다. ‘나’의 삶과 앎을 ‘남’들과 공유하고 싶은 절절한 욕구에 의해 씌여진 글들은 온라인 공간에서 커다란 공감과 진한 감동을 자아냈다.
문집은 <나만의 작은 력사>, <살며 생각하며>, <시처럼 노래처럼>, <우리 그리고 우리 문화>, <꿈 꾸는 자의 노래> 등 5개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변화에 변화를 거듭하는 표현매체의 발달은 우리말 글쓰기의 창작활동과 독서행위, 류통방식 등을 새로이 탄생시켜주고 있다. 때문에 지행자문집의 출간은 시대적인 의의를 부여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집은 조선말 도서출판에서 온라인 글쓰기에 접근하는 좋은 보기가 될 것이다.
지행자문집은 조선족문단에서 2004년 민족출판사에 의해 출판된 KSC 대학생 우수작품집-《여우사이(여기서 우리의 사랑이 이루어진다)》 이후 공식출판된 두번째 온라인 작품집이다.
구매하기

목차
- 그대 손에 위챗이 있다
- 01 나만의 작은 력사
- 내 삶의 버팀목
- “그 땐 그랬지”
- 사라져버린 조선족마을의 이야기
- 순둥이
- 집에 가면 밥이 있다
- 기차는 추억을 싣고
- 지구에서 쇤 설
- 나만의 ‘월드컵’
-  
- 02 살며 생각하며
- 조선족도 손정의 같은 인물을 키울 수 있다
- 물 우를 노니는 배처럼
- ‘이방인’에서 ‘경계인’으로
- ‘우리’ 밖에서 ‘우리’를 본다
- 마법 같은 독서
- 책벌레의 책 읽기와 글쓰기
- 고향 인상, 퍼즐조각과 빅데이터
- 딸아, 즐겁게 사랑하렴
- 03 시처럼, 노래처럼
- 윤동주의 사랑시
- 그리움을 그리는 화가 - 강종호
- 그림은 나더러 말을 하라 한다
- 에로티시즘과 상상력 - 신라편
- “가을이 좋아요!”
- “겨울이 왔어요”
- 다마끼 고지의 <가지 말아줘>
- 04 우리 그리고 우리 문화
- 사람의 마을에 꽃이 지다
- 할매랑 화투 놀래?
- 벼농사와 조선족
- 민족문화 그리고 정체성
- 나는 연변말이 ‘써거’ 좋다
- ‘우리말’? ‘일본말’?
- 05 꿈 꾸는 자의 노래
- 나의 늦깎이 문학공부
- ‘대리의 휴일’
- 일본에서 만난 사람들
- 2년간의 한국생활, 생업의 현장에서
- 움직이는 집
- 세집아리랑
- 내 생에 열두번째 교원절
- 고맙다, 윁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