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록강의 상류 지역에는 백두산의 첫 동네라고 할수 있는 장백조선족자치현이 조선의 량강도 혜산시와 마주하고 있다.

중국에서 연변조선족자치주 다음으로가는 조선족자치현 이다.

현재 인구는 약 8만6천340명 정도 되는 작은 현이다.

조선족 인구는  1만4천명으로서 전체 인구의 16.9 %를 차지한다.

장백조선족자치현은  1958년에  9월15일에 성립되였다.

장백조선족자치현은 중국길림성동남부 백두산 남서쪽 ,  압록강 상류지역에 자리하고 있으며 동남 방향으로 조선의 량강도 혜산시의 삼지연군 , 보천군 , 삼수군 , 김정숙군 , 후천군과 마주하고 있다.

장백조선족자치현은 조선의 량강도의 김정숙군과는 자매결연 도시이기도 하다.

장백조선족자치현은 조선과의 변경선 길이가 260.5 km가 된다.

그중 육지계선은 3.5 km 가 되고 수계는 257 km가  된다.

장백조선족자치현은 수력자원 , 산림자원 , 광산 자원의 풍부하고 백두산을 끼고 있어 특산품의 산지로도 명성이 높다.

압록강 건너 조선의 량강도 혜산시를 한눈에 조망할수 있고 물 맑고 공기가 청신하고 인품 좋은  작은 현성이다.

길 거리에서 만난 조선족 할머니들

조선의 량강도 혜산시는 동경  128도06 ~128도21 , 북위 41도14 ~ 41도26에 위치하며 , 면적은  277km , 인구  18만 1000명 [ 1997년추정] 이다.

1954년 10월 , 이 지역을 함경남도에 분리 , 양강도를 신설할때 혜산읍 , 춘동리 , 영흥리 , 중리와 위연포 노동자구를 통합하여 혜산시로 승격 되면서 양강도의 도소재지가 되였다.

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두고 중국 길림성장백조선족자치현과 마주 하고 있다.

주요 산업으로는 광업 ,  방직 , 제지 공업으로서 량강도 제일의 공업도시이다.

장백조선족자치현의 현성 유보도에서 압록강 건너 혜산시의 모습은 정겨운 한폭의 그림 처럼 한눈에  안겨 온다.

여름이라 압록강변에는 조선 아이들의 물 장구를 치면서 떠드는 웃음 소리가 강변을

떠들썩하게 하고 있다.

                                                                              사진:  2013년 7월13일

이 글을 공유하기:

cya0909

작가를 응원해주세요

좋아요 좋아요
19
좋아요
오~ 오~
0
오~
토닥토닥 토닥토닥
0
토닥토닥

댓글 남기기

글쓰기
작가님의 좋은 글을 기대합니다.
1. 아직 완성되지 않은 글의 초고는 "원고 보관함"에 저장하세요. 2. 원고가 다 완성되면 "발행하기"로 발행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