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풍경]
어제까지만해도 앙상했던 것들이 흰꽃송이를 활짝 터뜨렸습니다. 지각하는 줄 알면서 한참 바라보았습니다.
[동네산책]
오후, 취소된 약속을 아쉬워하며 산책을 했습니다.
[노들강변 봄버들]
옛날 이곳엔 백로가 노닐고 수양버들이 울창하여 '노들나루'라 불렸습니다. 석벽 밑으로 강물이 흐르고, 절경이 펼쳐져 있어 전국의 명인들이 찾았던 산수좋은 곳이였다고 합니다. 그 뒤, 한강철교가 준공되면서 나루터로서의 기능이 점차 상실되어갔습니다.
… … 지금은 '노들강변'이라고 씌여진 표석만이 옛정취를 지켜주고 있습니다.
[한강대교의 중심부- 노들섬]
내가 보아온 꽤 오랜 시간동안 이 곳은 모래더미와 잡초, 텃밭, 갈대숲으로 뒤덮인 도심 속의 내밀한 제3의 세계였다. 그러다가 얼마전 문화공간이라고 부르는 쎈터가 들어섰는데… … 어쨋든 문화라는 것은 뭐든지 그냥 가만히 두지 않는다. 그 주범은 인간이다.
[학창시절의 점수처럼]
묘비에 적힌 죽은자들의 이름은 이제 어느 누구에게도 이롭지도 해롭지도 않은 것이 되였습니다.
[김대중의 봉분]
양지바른 곳에 고적하게 자리하고 있는 김대중 전대통령의 봉분… … 멀지 않은 곳에 이승만, 박정희 대통령의 묘소가 이웃하고 있습니다.
김대중, 이승만, 박정희… 누구도 반박할 수 없는 이들의 공통점은 '죽었다'라는 사실입니다.
[사진찍는 처자]
이제 곧 져버릴 벚꽃, 그리고 언젠간 가버릴 청춘; 둘을 꼭 붙잡고 놓치고 싶지 않은가 봅니다. 그래서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시간과 죽음에 맞서려는 항거의 표현일지도 모릅니다.
[어떤 마음이 그를 더 생각할가]
무덤이 있는 동산에 올라서니 지나간 누군가가 떠올랐습니다. 그를 생각하니 행복하기도 하고, 울적하기도 합니다. 둘 중 어떤 감정이 그를 더 많이 그리워하는것일까.
[무제]
벚꽃나무아래서 수다를 떨고 있는 여고생들… … 벚꽃나무가 벚꽃의 무게를 지탱할 수 없듯이, 교복은 터질듯이 만개한 그녀들의 몸을 온전히 담기 벅차한다.
[슬픈 나무]
잘린 팔, 흰 눈물…
지각하는줄 알면서도 한참을 바라보았습니다; 죽은자들의 이름도 이제는 어느 누구에게도 이롭지도 해롭지도 않은 것이 되어버렸다; 이 두구절 너무 좋네요~~~
눈 호강하는 좋은 풍경들이네요^^
“이제는 어느 누구에게도 이롭지도 해롭지도 않은 것” 저도 이 구절이 좋습니다. 근데 다시 잘 생각해보면 꼭 그렇지도 않은 것 같습니다. 이건 태클은 아닙니다. (공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공손하게 태클 아닌 태클 걸기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시간과 죽음에 맞서려는 항거의 표현일지도 모릅니다. ” 적어두고 싶은 글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