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봄]

이제 곧 봄입니다. 겨우내 무거웠던 옷과 마음들을 이제 벗어야 합니다. 

[미리 온 봄]

꽃들이 만발했습니다. 아직 겨울인데 말입니다.

졸업을 하는가 봅니다.

오래전, 졸업을 앞두고 내 친한 친구가 ‘우리는 미래의 동서남북들~’이라고 하는 바람에 웃었는데… … 

그래도 그 예언은 맞았지요. 

그때에는 영원할 것만 같았던 많은 일들이 

이제는 과거 속으로 쓸려나가 덧없이 사라지고, 

그 사이에 또 새로운 일들이 생겨나 그때는 알지 못했던 기쁨과 슬픔들을 낳았고, 

그러면서 옛일들은 더 희미해져

이제는 혼자서는 떠올릴 수도, 추억할 수도 없는 ‘것’들이 되었습니다.

[눈이 오는 풍경]

눈의 고결한 처녀성을 뚫어버리는 발자국들;

발밑에서 들려오는 눈의 신음소리~

이것이 눈이 오는 풍경~

[기다리는 텅 빔]

개학을 앞둔 운동장은 폭풍전야의 고요함이 흐릅니다.   텅 비었습니다.

그러나 무엇이 떠나가 버린 텅 빔이 아닙니다.

어떤 것이 도래하기를 기다리는 희망찬 텅 빔입니다.

[흡연이 죄목이 된 시대]

버스를 타고 입구까지 갈 수 있었지만 담배를 피우면서  걸어갔습니다.

[인간복제인가, 복제인간인가]

사람들은 복제인간을 두려워하면서 인형은 왜 만들었을까?  아니다. 인간은 복제를 두려워하는 것만은 아니다.

 ‘왜 사람들은 오래오래 살려할까’라는데 대해 생각해볼 때,  특히 우리 인간에게는 ‘나는 죽고 싶지 않다.~’라는 불멸에 대한 욕망이 강하게 들어있다.  그래서 '나'는 안죽으려 한다. 

그러나 나의 육체는 자연적 조건에 따라서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이고… …  

결국 우리는 해결책을 만들어낸다. 

분신을 통해 위로받는 일이다. 

내가 나의 분신을 만들어내면  그 속에 또 다른 ‘내’가 들어가있기 때문에, 

나는 소멸해도 나의 분신은 나를 대신해 계속 이어서 살아갈 것이므로

사람들은 그토록 자손을 가지려고 애를 쓰고… 

자기를 닮은 2세가 태어나면 그렇게 기뻐하고… …

본질적으로 삶의 문제라는 것은, 

내가 후손을 얻게 되면 나의 정신은 계속 승화를 할지 몰라도, 나의 순수한 육체는 소멸할 과정만 남아있다는 이 변증법적 멜랑꼴리를 받아들이는 문제일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이미 다른 곳에서 새로운 내 삶이 시작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을 공유하기:

아다먹끼

작가를 응원해주세요

좋아요 좋아요
20
좋아요
오~ 오~
0
오~
토닥토닥 토닥토닥
0
토닥토닥

댓글 남기기

  1. 항상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사진일기입니다. ㅋㅋ 憋大招를 했다가 한꺼번에 여러개를 푸는 스타일 ㅋㅋ. “미리온봄”에서 적은 “영원할 것만 같았던 많은 일들은…이제는 혼자서는 떠올릴 수도, 추억할 수도 없는 ‘것’들이 되었습니다.” 라는 문구에 많은 공감이 가게 되였슴다. “흡연..”, “인간복제..” 등 모든글이 다 아다모끼님만의 특색이 있슴다. 응원합니다!

글쓰기
작가님의 좋은 글을 기대합니다.
1. 아직 완성되지 않은 글의 초고는 "원고 보관함"에 저장하세요. 2. 원고가 다 완성되면 "발행하기"로 발행하세요.